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RAID 기술
    Computer Science 2024. 12. 11. 14:17

    1️⃣ 기본 개념

    • RAID (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/Inexpensive Disks)
    •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처럼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기술

    (1) 주요 목적

    • 데이터의 안정성, 속도, 또는 둘 다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됨
    • 데이터 안정성: 디스크 장애 발생 시 데이터 보호
    • 성능(속도) 향상: 디스크 입출력(I/O) 속도 증가

    (2) 작동 방식

    RAID는 데이터를 분할하거나 복제하여 여러 디스크에 분산시킴

    • 미러링(Mirroring): 데이터를 그대로 복제하여 안정성을 높임
    • 스트라이핑(Striping):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나누어 기록하여 속도 향상
    • 패리티(Parity): 데이터 복구를 위한 정보 저장

    2️⃣ RAID 레벨

    (1) RAID 0 (Striping)

    • 특징: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나누어 저장
    • 장점
      • 읽기/쓰기 속도 향상
      • 디스크 용량 100% 활용 가능
    • 단점
      • 장애 발생 시 데이터 복구 불가능
    • 사용 사례: 데이터 복구가 필요 없는 환경에서 고속 작업 필요 시

    (2) RAID 1 (Mirroring)

    • 특징: 동일한 데이터를 모든 디스크에 복제
    • 장점
      • 데이터 안정성 높음 (하나의 디스크 장애 시 데이터 복구 가능)
    • 단점
      • 디스크 용량 50%로 감소
    • 사용 사례: 중요 데이터 보호가 필요한 환경

    (3) RAID 5

    • 특징: 데이터를 스트라이핑 방식으로 분산 저장하고, 패리티 정보를 추가로 저장
    • 장점
      • 데이터 손실 없이 디스크 1개 장애 복구 가능
      • 성능과 용량 효율성 균형
    • 단점
      • 디스크 장애 복구 시 성능 저하
      • 최소 3개 디스크 필요
    • 사용 사례: 성능과 안정성 모두 필요한 환경

    (4) RAID 6

    • 특징: RAID 5와 비슷하지만, 패리티 블록을 2개 저장하여 더 높은 안정성 제공
    • 장점
      • 디스크 2개 장애 시에도 데이터 복구 가능
    • 단점
      • 패리티 계산으로 인해 쓰기 성능 감소
      • 최소 4개 디스크 필요

    (5) RAID 10 (RAID 0 + RAID 1)

    • 특징: 미러링과 스트라이핑 결합
    • 장점
      • 데이터 복구 및 성능 향상 모두 제공
    • 단점
      • 디스크 용량 효율성이 낮음 (절반 용량 사용)
      • 최소 4개 디스크 필요
    • 사용 사례: 고성능 및 높은 안정성을 요구하는 서버

    3️⃣ 하드웨어 RAID vs 소프트웨어 RAID

    4️⃣ RAID vs 백업

    • RAID는 데이터 손실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, 백업의 대체가 아님
    • 백업은 데이터 삭제나 시스템 문제에도 대비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 보호 전략임